기고(지구온난화 이대로는 안된다)
지구 온난화 이대로는 안 된다
빙하가 녹는다는 이야기가 허무맹랑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최근 몇 십 년 동안 지구의 공기는 매우 따뜻해 졌고, 전 세계에서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이상 징후들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상태로 지구 온난화가 계속 된다면, 북극해의 얼음이 2013년 여름이 끝날 무렵이면 거의 없어질 수 있다고 하는 과학자도 있으며, 예측 모델로는 2040년에는 다 녹을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지구상의 얼음은 어느정도 있는 것일까?
지구는 바다가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어 육지보다 바다에 얼음이 더 많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지구상의 얼음의 90%는 남극대륙에 있다고 하며, 남극의 면적은 한반도의 61배나 되며 대륙의 98%가 얼음으로 덮혀 있고 얼음의 평균두께는 2,500m나 되며, 북극권의 얼음 대륙도 한반도의 40배 정도가 된다.
이 모든 얼음이 녹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과소 평가하는 것이 있다고 한다. 2013년 이후 북극해의 얼음이 다녹았을 때 해양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이다.
원래 북극해의 얼음은 지구에 들어오는 80%의 태양열을 반사하여 해양의 온도를 차갑게 유지 시키는데, 북극해의 얼음이 적어지면서 해양은 더 많은 태양열을 흡수하고 따뜻해진 해양은 더 많은 북극의 얼음을 녹이고 북극의 얼음이 줄어들면 더 많은 태양열이 바다로 흡수되는 악순환이 된다는 것이다.
북극의 얼음이 녹고 영구 동토의 해빙이 시작하면, 영구 동토 중에 갇혀있던 메탄하이드레이트에서 메탄가스가 방출되기 시작한다.
과학자들은 온실가스로서 이산화탄소보다 20배이상이나 강력한 5000억톤의 탄소가 북극 빙하에서 방출될 것으로 추산하나 어느정도로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수치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메탄이 무서운 점은 이산화탄소 같은 인간이 만들어 내는 온실 가스와 달리 자연에서 분출되기 시작한 메탄가스는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이런 일련의 변화는 아득히 먼 옛날 최소 두 번 이상의 비슷한 상황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지질학에서 팔레오세 에오세 최고온도기(PETM)인 5천1백만년전에 일어났는데, 당시의 메탄 분출은 10만년 이상이나 기후를 혼란에 빠뜨리며 빠른 온난화와 대규모 멸종이 있었다 하며, 페름기(Permian)의 끝인 2억5천1백만년 전에도 당시의 연속적인 메탄 분출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를 쓸어버릴 정도였다고 한다.
나사(NASA) 수석 과학자 제임스 한슨은 “우리는 정점을 넘어섰지만 돌아오지 못할 지점을 넘기진 않았습니다. 우리는 되돌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속한 방향 전환이 필요합니다”라고 하였다.
환경문제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우리와 우리아이들에게 생존에 관한 문제이며, 우리 모두는 안락하고 환경파괴적인 생활방식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