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련 꽃봉오리를 신이(辛夷)라고 하여 약으로 쓴다.
신이라는 이름은 약간 매운 맛이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콧병에는 신이가 최고의 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씨, 뿌리, 나무껍질, 잎 등을 모두 약으로 쓴다.
맛은 맵고 성질이 따뜻하며 독이 없다. 폐와 위로 주로 들어간다.
풍사를 통하게 하고 막힌것을 뚫어주는 효능, 두통, 축농증, 코가 막히는 것과 치통을 낫게한다.
오장의 한열(寒熱)과 풍사(風邪)를 없애고 머리를 맑게하여 얼굴에 난 기미, 주근깨를 치료한다.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근육을 풀어주며 구규(九竅)를 뚫어주며 코가 막힌 것을 통하게 하며 콧물이 나오게 한다.
얼굴이 부으면서 생긴 치통과 차나 배를 탄 것처럼 현기증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수염과 머리카락을 나게하며 촌충을 죽여 없앤다.
<산목련은 살결을 곱게 하는데 으뜸가는 약초이다>
크림으로 만들어 얼굴에 바르면 기미나 주근깨, 여드름이 없어지고 얼굴이 매끄럽게 되어 빛이 난다.
목련 꽃봉오리는 여러가지 균을 죽이고 혈압을 낮추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자궁을 흥분시키며 자궁수축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꽃이 활짝 피기전의 꽃망울과 잔뿌리를 각각 20g씩 물로 달여서 마시면 좋다.
기미나 주근깨를 없애려면 꽃망울을 채취하여 45도 이상되는 증류주에 담가 우려내어 얼굴에 바르거나 곱게 가루내어 바셀린이나 식물성 기름에 섞어 얼굴에 하루 두번씩 바르고 마사지를 한다.
20~30일 동안 얼굴에 바르면 기미 주근깨 같은 것들이 없어지고 살결이 고와지며 윤이 난다.
꽃봉오리와 뿌리를 진하게 달인물을 콧속에 넣을수도 있고 먹을수도 있다.
아니면 붓처럼 생긴 꽃봉오리를 콧속에 끼워두는 방법도 있다.
오래 복용하면 편도선염이나 갑상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등에도 좋은 효험이 있으며 머리가 맑아지고 목소리가 아름다워지며 살결이 백옥처럼 고와진다.
<목련차 만드는 방법>(1)
차는 끓여서 만드는 방법과 직접 우려서 마시는 방법이 있다.
꽃봉오리를 신이라 하여 활짝 피었을 때까지 채취를 한다.(너무 어린 봉우리나 너무 핀 것은 효험이 적다)
맑은물에 잘 행구어 연한 소금물에 5분~10분정도 담갔다가 한지 위에 말리면 좋다.
바짝말린 봉우리를 후라이팬에 노르스름하게 잘 볶는다.
잘 볶은 목련꽃과 유근피와 상백피(뽕나무뿌리 껍질) 몇 조각을 함께 냄비에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한번 끓으면 연한불로 물이 반으로 줄어들게 달인다.
다려진 차는 하루 2~3회 나누어 마시며 식사 전후와는 관계 없다.
처음에는 농도를 연하게 복용을 하고 나중에는 진하게 마신다.
<목련차 만드는 방법>(2)
목련꽃봉오리는 "성질은 따스하고 맛은 맵다, 코가 막힌것을 통하게하고 콧물이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냄새를 맡지 못하는 병을 치료한다"
- 제조방법(1) -
1. 목련꽃 봉오리를 따서 바짝 말린 후 후라이팬에 노르스름하게 잘 볶는다.
2. 잘볶은 목련꽃을 냄비에 물을 붓고 끓인다.
3. 봉우리 12g에 물을 적당량으로 달여서 하루에 세번 마신다.
4. 물을 끓이고 남은 봉우리는 코속에 넣고 있으면 피고름을 빼냅니다.
- 제조방법(2) -
1. 목련꽃 봉우리째 깨끗이 손질하여 소금물에 겉을 살짝 담갔다가 물기를 닦고 말린다.
2. 살짝 김을 입흰 뒤에 찌면 더 좋다.
3. 찻잔에 꽃잎 3~4장을 넣고 끓는 물을 부어 마신다.
'자료실 > 약초&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돈 안들이고 고질병 치료 (0) | 2012.09.04 |
---|---|
[스크랩] 자귀나무의 효능 (0) | 2012.07.29 |
[스크랩] 풍치민간요법 (0) | 2011.08.13 |
초란만들기 (0) | 2010.09.02 |
감기(증상별 음식 or 차) (0) | 2008.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