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조&산행&여가/산행(国内)

선운산(전북 고창군)

돌과바당 2016. 2. 14. 00:12

○ 선운산 소개

선운산은 호남의 내금강으로 불리우는 명승지로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해발 336m)

선운산은 도솔산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선운이란 구름속에서 참선한다는 뜻이고 도솔이란 미륵불이 도솔천궁의 뜻으로 선운이나 도솔산이나 모두 불도를 닦눈 산이라는 뜻이다.

 

곳곳에 기암괴석이 봉우리를 이루고 있어 경관이 빼어나고 숲이 울창한 가운데 천년 고찰 선운사가 자리하고 있다.

본사는 선운사로 검단선사가 창건하고 대참사(참당사)는 진흥왕의 왕사인 의운국사가 창건햇다고 하나 천오백년 전의 일이고 현재는 도솔암, 석상암, 동운암과 함께 참당암이 있지만 옛날에는 89암자가 골자기마다 들어섰던 것으로 전한다.

 

문화재로는 금동보살좌상, 지장보살좌상, 선운사 대응전, 참당암 대웅전, 도솔암 마애불 등이 보물이고, 동백나무 숲, 장사송, 송악 등이 천연기념물이며, 석씨원류 경판, 영산전목조삼존불, 육층석탑, 법종, 약사려래불상, 만세루, 백파율바비, 참당암 동종, 선운사 사적기 등이 지방문화재로 백파율사비는 추사가 짓고 쓰고한 추사 글씨 중에서도 대표작이다.

 

선운산의 경치를 살펴보면 큰절에서 개울을 따라 올라가면 물줄기가 갈라진 곳에 자연의 집이 있고, 우측으로 더 올라가면 여덟가지로 소담하게 벌어진 장사송과 진흥왕이 수도 했다는 진흥굴이 있다.

 

개울건서 산 중턱에 우뚝 선 바위가 이 산에 침입하는 마귀를 방어하는 신장역할을 하는 봉두암(일명 투구봉), 그 위 산등성이에 돌아 않은 바위가 역시 도솔천에 들어오는 마귀를 방어하는 사자암이고, 여기서 조금만 올라 가면 도솔암, 우측으로 층층의 바위계단을 오르면 천길 절벽위에 도솔천 내원궁 즉 상도술이 있다.

 

이곳에서 우측 암벽을 오르면 말발자국이 파여있어 이를 진훙왕의 말발자국으로 전하며 바위틈을 비집고 올라서면 이곳이 만월대이며 신선이 학을 타고 내려와 놀고 갔다는 선학암이다.

 

다시 내려와 나한전에서 조측을 보면 깍아지른 듯한 암벽에 불상이 조각되어 있는 도솔암 마애불이고 더 올라가면 용문굴, 좌측으로 돌아 오르면 낙조대가 있다. 바로 옆에 천마봉, 도솔천의 비경이 발아래 전개된다.

또한 선운산에는 풍천장어, 작설차, 복분자술 등의 특산물이 있어 풍천장어구이에 복분자술 한잔으로 최고의 별미를 맛볼 수 있다.


○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인기명산 37위)

 - 경관도 수려하지만 선운사 주변의 동락군락지는 국내 제일을 자랑한다. 봄맞이 산행으로 3월, 동백산행으로 동백이 만발하는 4월, 10월 가을산행 순으로 인기 있다.

 

 

 

 

○ 선운산 산행코스도

 

 

 

 

 

○ 선운산 표지석

 

 

 

 

 

○ 선운산 가는 길

 

 

 

 

 

○ 선운사 일주문

 

 

 

 

 

 

 

 

 

 

 

○ 진흥굴 - 진흥왕이 수도 했다함.

 

 

 

 

 

 

 

 

 

 

 

○ 장사송 - 수령 약 600년

 

 

 

 

 

 

 

 

 

 

 

○ 도솔암 가는 길

 

 

 

 

 

○ 천마봉 가는 길

 

 

 

 

 

○ 천마봉 가다가

 

 

 

 

 

 

 

 

 

 

 

 

 

 

 

 

 

○ 천마봉

 

 

 

 

 

 

 

 

 

 

 

○ 낙조대

 

 

 

 

 

○ 용문굴

 

 

 

 

 

 

 

 

 

 

 

○ 도솔암 마매불 가는 길

 

 

 

 

 

 

 

 

 

 

 

                                          ○ 도솔암 마애불

 

 

 

 

 

 

 

 

 

 

 

○ 선운사 대웅보전

 

 

 

 

 

○ 선운사 천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