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리성은 일본식 성곽이다.
바다와 가까운 이점 때문에 고려시대부터 조창이 설치되어 주변에 토성을 쌓았었다.
그후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왜성을 쌓아 주둔하였고, 뒤이어 정유재란 때 성주변에서 일본군과 조명연합군이 큰 싸움이 있었다.
○ 성내 천수각 터
- 현재는 공군장병의 충령비가 세워져 있다.
○ 충무공 이순신장군 사천해전 승전기념비, 이 전투에서 최초로 거북선이 출전했다 한다.
○ 조명군총
- 임진왜란이 끝나갈 무렵, 조명연합군은 이곳 선진리성을 포위하고 격전을 벌였다.
- 싸움이 한창 진행될 즈음 아군 진영에서 탄약상자가 폭발하여 전열이 흐트러졌다. 마침 성안의 일본군으로부터 기습을 받은 조명연합군은 많은 전사자를 남기고 후퇴하였다.
- 전투가 끝난뒤 일본군은 전과를 본국에 알리기 위해 전사한 시체의 귀와 코를 베어 일본으로 보낸 뒤 시체의 목을 베어 한데 모아 무덤을 만들었다. 그것이 조명군총이다.
○ 이총
-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은 전리품으로 조선인들의 귀와 코를 베고 소금에 절여 일본으로 보냈다.
- 토요토미히데요시는 이를 승전의 표시로 교토 토요쿠니 신사 앞에 묻고 이총이라 칭하였다.
- 1992년 4월 사천문화원과 삼중스님이 합심하여 이억만리 떠도는 원혼을 달래고자 이총의 흙 일부를 항아리에 담아 와서 제를 지내고 조명군총 옆에 안치하였다.
- 2007년 사천시의 후원으로 현재의 위치로 이전 안치하고 비를 세웠다.
'출조&산행&여가 > 나들이(国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산사(경남 진주시) (0) | 2017.04.23 |
---|---|
진주성&진양호(경남 진주시) (0) | 2017.04.23 |
도담삼봉&탄금대&중앙탑(칠층석탑) (0) | 2017.03.26 |
오동도&진남관(여수시) (0) | 2016.05.08 |
필암서원&홍길동테마공원&정혜공 백비(전남 장성군) (0) | 2016.03.04 |